백신을 위해 희생되고 있는 동물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00:00
    ...

회원로그인

자유게시판

백신을 위해 희생되고 있는 동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혼또니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409회 작성일 21-07-22

본문

 

16269552374904.jpeg

 

 

16269552376578.jpeg

 

살아있는 투구게의 피를 채취하고 있는 장면

투구게의 피는 헤모글로빈이 없어 파란색 입니다


 

16269552378426.jpeg

 

투구게는 4억년이 된 생물로
여타 동물과는 다른 면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항원-항체 면역반응이 없으며
세균이 들어오면 주변의 피가 응고되어 몸을 보호 합니다

 

16269552380486.jpeg


세균에 대한 투구게 피의 민감도는
현대 과학기술로도 쉽게 대체를 못할 정도의 수준

 

16269552382642.jpeg

 

 


 

 

투구게의 피는 백신을 포함한
각종 주사 물질의 독소를 검출하는 데 쓰이고 있으며

매우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고 합니다
1갤런 당 $60,000

4억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생존해온 동물이지만
최근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동물보호단체에서 문제제기를 하고있는상황

 

1626955238468.png

 

 

 

투구게의 팔자는 기구하다고 해요
과거에는 원주민들이 잡아다 땅에 뿌리는 비료로 사용 했고

 


 

 

16269552392095.jpeg

 

그리고 이 방법은
유럽인들이 보고 배워서
19세기에 이르러서는 매년 백만마리를 잡아다가 말려서

비료를 만들었고

 

16269552393666.jpeg

 


 20세기가 되어 화학비료가 생산되고서야

 

개체수 감소의 운명에서 잠시 벗어났다고 합니다


 

16269552395576.png

 


 

부연 설명

투구게는 대부분의 현대 생물에게 존재하는 '면역'시스템이 나타나기 전에 탄생한 생명체이기 때문에 우리와 같은 체내 면역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구게 체내에 독소나 병원균이 들어와도 우리처럼 몸에서 그에 맞는 항체가 생성되는게 아니라 혈액 안의 응고인자를 방출하는 독특한 세포가 혈액이 세균이나 기타 병원성 물질에 노출될 경우 노출된 부분의 혈액이 통째로 굳어버리는 방식으로 병원체의 확산을 차단하는 방어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투구게의 면역체계가 발견된 이후에는 투구게 혈액에서 추출되는 LAL(Limulus Amebocyte Lysate)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약품 내 병원성 유해물질 유무여부를 판단하는 "생묵할적내독소실험"을 하고 있다. 물질읠 LAL에 노출시켰을 때 LAL 단백질이 응고되면 그 실험물질에 병원체가 있다는 뜻인 것이다. LAL을 이용한 이 방식은 매우 정밀해서 수영장에 떨어진 설탕 알갱이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하며 실험결과도 4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 LAL은 아직 인간이 화학적으로 모방할 수 없다고 한다.

투구게의 혈액이 활용되기 전에는 약품이나 백신 등이 안전한지 알아보기 위해 동물실험을 거쳤는데 실험실에서 동물을 키워야 하는 문제와 죽는 동물들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겹쳐서 과학자들의 큰 고민거리였다. 동물을 이용한 실험은 결과를 얻는데만 48시간이 넘게 걸리고 동물이 죽기까지 해서 매년 수만마리의 토끼나 설치류가 연구로 목숨을 잃어 왔었다. 즉, 해마다 투구게의 피 덕분에 수많은 사람들과 연구동물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

 


 

찾아보니 허리를 접어서 피뽑고 바다에 풀어준다고.. 

동영상 보니 상당수가 죽겠네요. ㅠㅠ

 

 


https://youtu.be/LgQZWSlLBnA 

 


 

 

 

 

 

바로가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5,66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슈퍼맨플러스 먹튀검증사이트
슈퍼맨 포인트전환 이벤트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해외스포츠중계 실시간 스포츠중계 사이트 슈퍼맨TV
Copyright © www.smantv4.net. All rights reserved.